여주쌀특징
여주쌀의 품질 특성
아밀로스 함량이 낮다.
아밀로스 함량이 낮을 경우 밥의 찰기가 좋다.
심복백미가 적다
심백미 : 미립의 중앙부가 하얀쌀
복백미 : 미립의 배쪽이 희고 불투명한 쌀
심복백미는 비중이 낮고 부스러지기가 쉬워 불량미로 볼 수 있다.
단백질 함량이 낮다
타지역 쌀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낮아 밥이 식었을 때도 밥이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
※ 단백질 함량이 높은 쌀은 취반시 밥의 점성과 탄성, 구수한 맛을 저하시켜 식미 측면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낮은 것이 좋다.
여주쌀 원료벼의 주요 재배품종
진상벼
여주지역의 주재배 품종인 "진상벼"는 식미 지수가 높고 소비자로부터 밥맛이 검증된 품종으로 여주의 토양과 기후, 수질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여주시에서 전용실시권을 가지고있어 여주에서만 재배되는 품종이다.
여주쌀 재배 및 생산과정 특징
"혁신단지(계약재배)는『혁신단지재배매뉴얼』에 의하여 재배 생산되고 있습니다 "
전량 여주시 내의 계약재배농가에서 수매
원료벼는 100% 전량을 혁신단지(계약재배)에서 물 벼수매로 실시하여 타 품종과의 혼입 확률을 줄이고 미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원료벼 수매 검사실시
원료벼는 원산지, 품종, 품위상태 확인 등 1차 검사한 후 인수하되 출하자별로 투입 전에 변색, 변질품 등 불량품 혼입여부 검사를 실시한다.
톤백 수매시 톤백당 1/1,000정도의 시료를 채취하여 수분측정기와 제현율판정기를 이용하여 품위검사를 실시한다.
원료벼 검사는 곡류검사실시요령(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제2006호-1호)의 "곡종별품위검정순위표"의 기준을 준수하며 통합직원 전원이 농산물검사원자격을 취득하여 수매업무에 임하고 있다.
공동육묘장 활용
단지별로 공동육묘장을 활용하여 공동육묘를 하고 있으며 병원균이나 해충에 감염을 방지하고자 지자체에서 전량 육묘용 상토를 지원 공급하고 있다.
여주쌀 맞춤비료의 사용 및 질소비료의 적정화
여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필지별 토양분석 자료를 통한 추천 시비량을 비료회사와 별도로 계약하여 여주시만의 맞춤비료를 생산하여 시비한다.
표준 시비량을 준수하되 미질에 관련이 큰 질소질 비료는 엄격하게 기준치 이하인 7kg/10a로 시비토록 하여 단백질 함량을 낮추어 미질을 높이고 있다.
물 관리
물 관리는 생육시기별 8단계로 정하여 물 관리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완전 물떼기는 밥맛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이삭이 팬 후 35~40일 경에 완전 물떼기를 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도정
원료(벼) → 정선 및 계량 → 제현 → 현미분리 → 현백 → 쇄미분리 → 제품 의 과정을 거치며 소비자에게 주문을 받고 1일 이내에 도정을 실시한다.
